로고

"사라진 명태" 빈자리, 씨알 좋은 "울진 왕대구"가 지천

ㅣ대구 금어기 1월16일부터 2월15일 ㅣ연안복합ㆍ자망 어민들 금어기 시기 조정 요구

김영규PD | 기사입력 2023/01/14 [12:25]
현장리포트 > 김PD의 Go!Go! 발로뛰는 현장리포트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사라진 명태" 빈자리, 씨알 좋은 "울진 왕대구"가 지천
ㅣ대구 금어기 1월16일부터 2월15일 ㅣ연안복합ㆍ자망 어민들 금어기 시기 조정 요구
 
김영규PD   기사입력  2023/01/14 [12:25]
씨알 좋은 왕대구(80cm 이상)가 손맛을 즐기는 낚시객을 울진으로 발길을 닿게 한다. A선단에 따르면 "이달 14일(75일간)까지 약3,600명이 선상낚시(대구)를 하기 위해 울진을 방문했다"라고 말했다. 
 

지난달 12일 왕돌초에서 대구 110cm를 잡아올렸다.

사진 : 킹스톤선단


: 경북 울진대구전용 방문객수 근거 
가용낚시어선 : 20척(울진군 낚시어선 등록 40척) 
출항일수: 20일, (11월 1일~1월 14일 75일중)
승선인원 : 약 8명 
대구낚시 방문객 수 : 약3,600명 
 
박재철 선장(경북북부낚시어선연협회)은 매년 "11월부터 비수기에는 대구낚시로 생계를 유지 해 왔는데, 금어기가 발목을 잡는다"며 "해수부에서 금어기 시기를 재검토 해줄 것"을 당부했다.
 

   2명 1조로 대구 중치(50~70cm)30수를 잡았다

 

2021년부터 시행된 금어기 시기에 어민들도 불만을 토로한다. 해수부는 "명태가 사라진 원인이 남획으로 인한 것"이라며 지금까지 "사라진 명태 복원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다. "기후상승에 따른 해수면 온도 상승이 재일 큰 원인"으로 전국민이 인식하고 있는 것을 정작 해수부만 모른다. 2014년부터 지금까지 혈세를 쏟아 붓은 사업실패에 대해 아무도 책임도 지지 않고 있다. 대구 금어기도 마찬가지 격이다. 어민들이 이해 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도 하지 않고 있다. 또한 , 대구 역시 남획으로 멸종하는 어종이 아니다. 더 세밀하게 과학적인 데이터로  금어기를 조정해야 한다. 그동안 대구 금어기는 부산과 경남이 1월, 그 외 지역은 3월이었지만  2021년부터 1월 16일부터 2월 15일까지, 체장은 30cm에서 35cm로 상향조정했다. 대구는 보통 11월부터 2월까지 많이 잡히는데도 불구하고, 해수부는 어민들의 생계는 뒷전으로 일괄적으로 공표한 것이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23/01/14 [12:25]   ⓒ 울진방송
 
  • 도배방지 이미지